마진 계산기는 판매가와 원가, 수수료를 입력하면 마진 금액과 마진율을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도구입니다. 또한 목표 마진율에 따른 적정 판매가나 원가도 역산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. 이 계산기는 가격 책정, 할인 정책 수립, 수익성 분석 등 다양한 비즈니스 의사결정에 도움이 됩니다.
마진(Margin)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가에서 원가를 뺀 순수 이익을 의미합니다. 마진은 금액(마진 금액)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, 판매가 대비 비율(마진율)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. 마진은 비즈니스의 수익성을 평가하고 가격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.
마진은 비즈니스의 건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. 마진이 높을수록 비즈니스의 수익성이 좋다고 볼 수 있으며, 예상치 못한 비용 상승이나 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. 적절한 마진을 설정하는 것은 가격 경쟁력과 수익성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중요한 의사결정입니다.
마진 금액 = 판매가 - 총원가 (상품원가 + 수수료)
마진율(%) = (마진 금액 ÷ 판매가) × 100
마진(Margin)과 마크업(Markup)은 종종 혼동되는 개념입니다. 마진은 판매가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반면, 마크업은 원가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 같은 판매가와 원가라도 마진율과 마크업률은 다른 값을 가집니다.
개념 | 계산 공식 | 예시(원가 700원, 판매가 1,000원) |
---|---|---|
마진(Margin) | 마진율(%) = ((판매가 - 원가) ÷ 판매가) × 100 | ((1,000원 - 700원) ÷ 1,000원) × 100 = 30% |
마크업(Markup) | 마크업률(%) = ((판매가 - 원가) ÷ 원가) × 100 | ((1,000원 - 700원) ÷ 700원) × 100 = 42.86% |
예를 들어, 상품 원가가 700원이고 판매가가 1,000원인 경우:
마진 금액 = 1,000원 - 700원 = 300원, 마진율 = (300원 ÷ 1,000원) × 100 = 30%
이는 판매가의 30%가 순수 이익임을 의미합니다. 즉, 1,000원 판매 시 300원이 마진입니다.
업종 | 평균 마진율 |
---|---|
소매업 | 20~40% |
제조업 | 15~30% |
서비스업 | 30~60% |
외식업 | 60~70% |
IT/기술업 | 70~90% |
※ 위 수치는 참고용이며 세부 업종, 지역, 기업 규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원가를 기준으로 마크업율을 계산하고 적정 판매가를 찾을 수 있습니다.
고정비용과 변동비용을 기반으로 손익분기점 매출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투자 비용 대비 수익을 계산하여 투자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