계산기/컴퓨터 계산기/ 문자열 암호화 계산기

해시 알고리즘이란?

해시 알고리즘은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값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입니다. 주로 데이터 무결성 검증, 비밀번호 저장 등에 사용됩니다.

지원 알고리즘 상세 설명:

MD5 (Message Digest Algorithm 5)
  • 해시 길이: 128비트 (32자)
  • 특징: 빠른 처리 속도
  • 취약점: 충돌 공격에 취약하여 보안용으로 부적합
  • 사용 예시: 파일 무결성 체크, non-cryptographic 용도
SHA-1 (Secure Hash Algorithm 1)
  • 해시 길이: 160비트 (40자)
  • 특징: MD5보다 안전하나 여전히 취약
  • 취약점: 2017년 구글에서 충돌 공격 성공
  • 사용 예시: 레거시 시스템 호환용
SHA-256
  • 해시 길이: 256비트 (64자)
  • 특징: SHA-2 계열, 현재 가장 널리 사용
  • 보안 수준: 2030년까지 안전하다고 평가
  • 사용 예시: 비트코인, SSL 인증서
SHA-512
  • 해시 길이: 512비트 (128자)
  • 특징: SHA-256보다 긴 해시값
  • 보안 수준: 높은 보안이 필요한 경우 사용
  • 사용 예시: 높은 보안 요구사항의 금융 시스템
Base64
  • 특징: 해시가 아닌 인코딩 방식
  • 가역성: 디코딩 가능
  • 사용 예시: 이미지 임베딩, API 키 전송

보안 주의사항

⚠️ 중요 경고

  1. 민감한 데이터 주의: 실제 비밀번호나 개인정보를 테스트하지 마세요
  2. 해시 ≠ 암호화: 해시는 단방향입니다. 복호화가 불가능합니다
  3. Salt 사용 권장: 비밀번호 저장 시 반드시 salt를 함께 사용하세요

알고리즘 선택 가이드

  • 파일 무결성 검증: SHA-256 또는 SHA-512 추천
  • 비밀번호 해싱: PBKDF2, bcrypt, scrypt 사용 권장
  • 데이터 인코딩: Base64 사용
  • 레거시 시스템 호환: MD5 또는 SHA-1(단, 보안용 X)

입력 항목


문자 수: 0

암호화 결과


SHA-256

-

SHA-512

-

MD5

-

SHA-1

-

Base64

-

해시 값 비교

알고리즘 비교